5/09/2019

의료기 특허 매년 6.8%↑…의료정보기기 등 주도


지난 10년간 국내 의료기기 분야 특허 출원이 연평균 6.82%이 증가하며 전체 특허 출원 증가율인 1.3%의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8일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산업계의 연구개발 전략 수립과 기술발전을 지원하고자 이 같은 내용의 지난 10년간(2009~2018년) 의료기기 유형별 특허출원 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의료기기 분야의 특허 출원은 총 7만6949건으로 연평균 6.82% 증가했다.

의료기기는 ▲영상진단기기 ▲생체계측기기 ▲체외진단기기 ▲진료장치 ▲마취호흡기기 ▲수술치료기기 ▲치료용보조장치 ▲정형용품 ▲내장기능 대용기 ▲의료용 경 ▲의료용품 ▲치과기기 ▲재활보조기기 ▲의료정보기기 등 크게 14개의 기술분야로 나눠진다.

그 중 의료정보기기(20.9%)와 생체계측기기(16.6%) 분야의 특허 출원이 최근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허청은 의료정보기기의 경우 의료정보가 빅데이터로서 활용성이 증가하고 스마트폰과 클라우드와 결합된 헬스케어 기술의 개발, 인공지능(AI) 기반의 의료 서비스 출현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또 생체계측기기는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고 각종 생체계측기기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되면서 자동화·소형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는 것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다(多) 출원인 현황을 살펴보면 10년간 누적 기준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관은 삼성전자(2164건)이고, 삼성메디슨(817건), 연세대학교(798건)가 그 뒤를 따랐다.

출원 상위 10위 기관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삼성전자, 삼성메디슨 등 국내 대기업 2개,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대학·공공연 6개, 美킴벌리-클라크월드와이드, 日유니챰 등 외국기업 2개로 나타났다.

중견기업 중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12위)가, 중소기업 중에서는 디오가 가장 많은 특허 출원(53위)을 했다.

특허청 양인수 의료기술심사팀장은 "의료기기 분야의 특허출원 증가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인구 고령화,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의 트렌드 변화, 신기술과 결합된 새로운 의료기기의 출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