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1/2019

모두순 팀장, "사용 경험 늘리는 정책 중요"

복지부 의료기기산업 육성 주요 정책 추진 현황 발표


"국산 의료기기 사용 경험 늘리는 방향으로 지원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보건복지부 모두순 팀장(의료기기ㆍ화장품산업TF팀)은 31일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의료기기 시장진출 전주기 통합 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모 팀장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2019년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 ▲범부처 의료기기 R&D사업 신규 추진 ▲사용자 평가지원 확대 시행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고도화 등의 사업을 추진했다.

이들 사업은 '국산 의료기기의 사용 확대'라는 공통 목표를 가지고 진행된 사업이다.

모 팀장은 "많은 기업들의 수출 애로가 '너희 나라에서는 쓰고 있냐'는 질문에 적절한 대답을 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국산 의료기기 사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해 나가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국내 병원들이 국산 의료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의료계가 보수적인 이유도 있지만 사용 경험이 부족한 이유가 더 크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개발에 참여해 의료기기를 개발하거나 기존 제품의 성능개선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국산 의료기기 사용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 모 팀장의 설명이다.

모 팀장은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상급종합병원은 의료인들의 트레이닝 등의 역할이 있어 국산 의료기기 확산 효과가 더 빠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혁신법 제정을 통해 연구개발에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한다.

해당 기업들은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선도형, 도약형)으로 선정하고 정부에서 맞춤형 지원을 진행한다는 것.

모 팀장은 "현재 혁신형 의료기기 군(분류), 품목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고,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11월 중 입법예고 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또 내년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범부처 R&D 사업을 진행한다.

주요 분야는 ▲시장 친화형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제품 개발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환경 대응 ▲의료 공공복지 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의료기기 생태계 기반 강화 등이다.

모 팀장은 "이번 범부처 R&D는 의료기기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및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6년간 12조 2,000억이 투입된다"며 "성과교류회 등에 관심을 갖고 참여해 R&D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얻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국산 의료기기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제품개발에서 신의료기술, 인허가, 기술평가, 의료수가, R&D까지 연계되는 일련의 과정을 돕는 '의료기기산업종합지원센터(센터장 모두순, 이하 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해당 센터에서는 기업의 상황마다 의료기기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을 신속하게 해결을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실제로 A기업은 다관절 구조의 복강경 수술 도구를 개발했지만 기존 복강경과 동일한 급여를 받는 문제를 해결해 별도의 치료재료 항목이 신설되기도 했고, B기업은 수액세트에 연결된 카테터가 별도산정 불가판정을 받았지만, 품목 재분류 신청제도를 통해 재분류가 되기도 했다.

모 팀장은 "복지부는 기업의 입장에서 생각하려고 노력한다"며 "기다리지 않고 기업들을 찾아가면서 올해도 KIMES 등 4개 행사에 별도 부스를 마련해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힘썼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 팀장은 "올해 센터에 기업의 상담수가 작년 대비 2배나 늘었다"며 "서울역 근처에 위치해 있으니 많은 의료기기 기업들이 부담없이 방문해 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