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첨복단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첨복단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8/06/2019

산업부, 2019년 의료기기 제품화 성과발표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병원-기업 간 협력 연구개발(R&D) 플랫폼 사업 및 첨단의료기기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창출한 국내 의료기기 제품화 성과에 대해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오송·대구경북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국내 주요 6개 병원, 의료기기 업계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해 성과를 공유하고, 의료기기 산업 발전 관련 정보를 교환했다.

산업부는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이 병원의 신뢰를 얻고, 시장진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병원-기업 플랫폼 사업을 통해 병원내 기업지원을 위한 전용공간 마련해 기업들이 병원의 의료현장 지식, 시제품 제작 컨설팅 등을 받을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병원당 평균 100건 이상의 컨설팅을 수행했고,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공동개발한 4개 품목에 대해 선도구매하는 등 병원-기업 간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오송·대구 첨복단지 의료기기센터의 인프라를 활용해 중소기업들의 애로기술해결 및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했다.

오송·대구 첨복단지 의료기기센터는 31개 기업을 지원해 100건 이상의 시제품 제작을 지원했고, 기업들은 총 31개 제품의 품목허가를 받는 성과를 창출했다.

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오늘 행사가 그간 정부의 투자를 통해 제품화된 성과들이 홍보돼 국산 의료기기가 시장에 적극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의료기기업계, 병원, 유관기관 등이 서로 협력해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위해 지속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4/18/2018

오송첨단의료재단 공동기기실 현판식 열어


오송에 소재한 기업들은 제품 실험을 위해서 값비싼 장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졌다.

충북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박구선, 이하 오송재단)에서는 지난 17일 재단 입주기업들을 위해 조성한 공동기기실 현판식 행사가 열었다고 밝혔다.

오송재단에 따르면 재단 입주기업들은 공동기기실 부재에 따른 불편을 제기했고 이에 따라 29대 실험장비를 완비했다.

이는 박 이사장이 취임 직후 조성을 약속해 2개월 만이다.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5층에 위치한 공동기기실은 세포배양 및 시료보관, 세포관찰을 위한 세포배양실과 시료제조 및 분석실을 갖추고 생물안전작업대 등 실험장비를 구비했다. 

이로써 입주 기업들은 공동기기실을 통해 별도 비용없이 실험장비를 이용하고 추가적인 장비구매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박 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취임 직후 약속한 공동기기실 조성 약속을 지켜 기쁘다. 앞으로 많이 활용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태규 신약센터장은 “공동기기실 조성이 신약개발 지원을 위한 또 하나의 교두보가 되길 바라며, 신약센터에서는 앞으로도 연구자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오송재단 신약센터는 글로벌 수준의 후보물질 도출 인프라를 구축하고 바이오신약 후보물질 연구를 수행하는 산·학·연 기관을 지원하고 있다. 

오송재단은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동시에 제약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표로 세워진 공공기관이며, 바이오 신약개발 관련 아이디어만 있으면 첨단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신약센터 건물에는 6개 기업이 입주한 상태다.

김정상 기자 sang@medine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