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2019

[조합40주년] 80년대 국산 의료기기 수출 수입 앞질러


의료용도구·콘택트렌즈·치과기재 성장 두드러져

전후 다시금 의료기기 자급을 위한 움직임이 일었으나 미군수품이 무상으로 공급되면서 또한번의 좌절을 경험해야 했다.

70년대 후반에 이르러 미군수품 공급이 중단되면서 국산 의료기기를 개발하고자하는 움직임이 다시 본격화됐고, 경쟁력을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해 보급됐다.

기존에 개발돼 쓰이던 주사침, 주사기, 수술대, 콘돔, 수액세트 등의 품질이 크게 개선됐고, 다양한 수술기구, 콘텍트렌즈, 1회용주사기, 전자혈압계, 청진기, 보청기,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각종 치과기자재, 엑스선 장치 및 치과용 엑스레이, 치과용 진료대, 전자체온계, 살균기 같은 의료기기들이 개발, 생산되기 시작했다.

남북의료기, 수술도구 생산으로 수출 길 열어
한국 의료기기 역사에 있어서 선구자 역할을 했던 대표적인 기업은 남북의료기였다.

남북의료기는 1970년 수원으로 이전한 뒤 생산업체를 남북이데아로 독립시켜 본격적인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독일의 EDA사에서 수술기구인 인스트루먼트를 반제품 형태로 들여와 완제품을 만들어 국내 소비자들에게 공급했고, 추가 생산된 물량은 다시 독일 등에 수출했다.

남북의료기는 70년대 중반부터 생산품을 군납하기 시작했고 수술기구, 주사침, 주사바늘을 생산하는 국내 대표적인 기업으로 자리를 잡았고, 국내 의사들로부터 의료기기 백화점이라는 칭호를 얻으면서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70년대 후반 반제품을 수입해 완제품 형태로 공급하는 회사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고, 경쟁에서 뒤쳐진 남북의료기는 80년대 후반 문을 닫게 된다.

이 자리를 대신한 것은 솔고산업사였다.

솔고는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해 국내 대표적인 의료기기 기업으로 자
리를 잡았다.

이외에도 중외제작소에서는 드렝싱 카, 병원용 집기, 병실 침대 등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세운산업은 고무제품을 본격 생산하기 시작했다.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국내 병원에서도 가격이 비싼 수입용 보다는 비교적 저렴한 병원용 수술도기, 주사침 등이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고도의 정밀기술 토대로 콘택트렌즈 생산 70년대 중후반에 들어 국가적으로 정밀
기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시작했고,이는 의료기기 분야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75년 공병오 박사가 콘택트렌즈 가공기술을 국내에 전수했고, 79년 무렵에 기술이 확산돼 관련 기업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콘택트렌즈 생산기업은 김응수 씨가 설립한 한국콘택트다.

이후 베스콘연구소에서 기술을 배운 이무걸 씨가 86년 국제콘택트를 설립하면서 본격적인 생산이 진행됐다.

초기의 콘택트렌즈는 비행기 유리를 손으로 직접 깎아 만들었다.

청계천에서 재료를 구해 1명의 숙련공이 15개 정도를 생산했다.

12명이 근무하던 한국콘텍트에서는 하루 120~150개가 생산돼 공급됐다.

당시 콘택트렌즈는 대량생산체제가 아닌 소령주문생산방식이었기 때문에 병원이나 대규모 안경점에서 소량 주문을 내리면 생산하는 체제를 갖고 있었다.

콘텍트렌즈는 제조공정이 무려 37단계나 되고 각각의 공정에 1,025가지나 되는 가공법이 존재할 만큼 고도의 기술과 정밀성을 요구하는 제품이다.


치과용 고급 의료기기 생산 본격화

치과기재에서 대표적인 기업인 신흥은 1969년 경기 고양에 매입해 둔 토지에 공장을 준공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다.

1970년대부터 아사히 X-ray를 조립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일본 모리타의 유닛체어 부품을 수입하여 조립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밖에도 일본의 쇼후사와 기술제휴로 인공치아의 일종인 레진치를 생산하기 시작하는 등 점차 생산품목을 다양화하고 일부 부품을 개발하면서 제작기술을 습득했다.

1973년 11월에는 신흥치과산업과 일본의 모리타, 쇼후사와 기술제휴로 인공치아의 일종인 레진치를 생산하기 시작하는 등 점차 생산품목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품목을 개발하면서 제작기술을 업그레이드했다.

이후 73년 11월에는 신흥치과산업과 일본 모리타, 쇼후가 합작으로 치과용 의료기기 및 기구 제조를 위한 코리아덴탈을 설립하고 유닛체어, 치과기재를 본격적으로 생산했다.

1978년에 생산되기 시작한 유닛 체어 ‘머메이드’는 외국 선진 제품들과 경쟁할 정도로 발전했다.

이후 중소 규모의 후발업체들이 등장해 치과산업에 뛰어들었다.

1974년 청계천에서 기계수리업을 하던 오성산업사는 1975년 치과용 핸드피스, 교합기 등을 제작했고, 1976년에는 정식 공장을 설립해 생산하기 시작했다.

오성산업사는 이후에도 끊임없는 연구개발, 자동화 설비 구축으로 해외 시장에서 인정받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석고 금속판 등 치과재료를 취급하던 동서의료기도 공장을 설립해 생산을 시작했고, 금은방에서 금, 백금 등 치과재료를 취급하던 삼신의료상사도 69년부터 치과주조용 합금 제조기술개발에 뛰어들어 치과재료 국산화에 기여했다.

삼신의료상사는1970년 Casting Gold Alloy, 1980년 PorcelainGold Allory, 2000년에 Non-Preciosn Metal을개발해 판매했다.

의료기기 산업에 찾아온 전성기80년대는 의료기기 수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1973년 처음으로 208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1980년에는 2,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당시 수입이 1,200만 달러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수입을 앞 선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주사기, 콘돔, 수액세트, 수술용품 및 치과기자재 등이었으나 이후에 품목은 더욱 다양해졌다.

의료기기 수출의 중심에는 치과기재 전문기업인 신흥이 있었다.

1970년에 연간100만 개의 레진치를 수출한 뒤 1973년에는 12만3,000달러를 벌어들였다.

신흥은 1976년 필리핀에 대리점을 두고 아시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해 100만 달러를
초과 달성하기도 했다.

동아엑스선기계에서도 1976년 6월 파키스탄에 2대의 엑스선장치를 수출을 계기로 80년대에는 필리핀, 멕시코 등에 엑스선 장치를 대량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

당시 한국산 의료기기가 수출된 국가는 과테말라, 그리스, 남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네팔, 노르웨이, 뉴질랜드, 네덜란드, 대만, 덴마크, 레바논, 말레이시아, 멕시코, 모로코, 미국, 방글라데시, 서독, 수단,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등 51개 국에 달했다.

당시 미국, 독일, 일본에 수출이 100만 달러를 넘었고 스웨덴, 싱가포르, 아르헨티나 등에도 10만 달러가 넘는 수출을 진행했다.

그러나 의료기기 산업에 있어서 무역수지 흑자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첨단 의료기기 개발이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음호에는 수입사들이 다시금 국내 시장을 장악하게 되는 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반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