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밸리 건너는데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건 '자금 확보'라 생각한다"
선경 교수(고려대 의과대학)는 지난 12월 17일 국회에서 열린 '의료기기 국산화 확대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국내 의료기기 산업 현황과 제언'이라는 발제에서 이렇게 말했다.
선 교수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고령화 및 기대수명 증가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런 이유로 바이오헬스 R&D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있고, 지원 부처도 산업부, 복지부, 과기부 등 다양하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바이오헬스산업에 전체 R&D 비용의 10% 이상을 사용하고 있지만, 의료기기에서는 그 성과가 잘 나오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연구개발과 상용화 사이에 '죽음의 계곡' 때문인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연구중심병원, 첨단의료복합단지 등이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쉽게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연구개발 역량, 제도개선이 그것이다.
연구개발의 부분은 ▲기업의 영세성 ▲ 선도국 기술 격차 60~70% 수준 ▲ 임상시험 역량 미흡 등이 원인이고, 제도개선에서는 ▲ 인허가, 보험 절차 등에 행정 낭비 ▲ 시험인증 및 품질 관리 수준 미흡 ▲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꼽혔다.
선경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 산업 전반에 구조개편이 필요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선 교수는 "기업들의 아이디어가 상품화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병원의 기술과 임상과 관련된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기업들은 제품이 상용화될 때까지 견딜 수 있는 자금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이 원활한 자금 운용을 위해서 정부 바이오헬스 펀드 운용에 전문가 참여가 확대되어야 하고, 연구중심병원에 투자펀드 등이 신설할 것을 제안했다.
선 교수는 향후 동북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선 교수는 "중국은 상용화 연구, 한국은 중개연구, 일본은 기초 연구 등 서로 잘하는 것이 다르다"며 "동북아 협력을 통해서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