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보건산업 일자리 현황’을 제출했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보건산업 일자리는 의료서비스를 포함하여 82만 900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79만 5000명에서 4.3%인 3만 4000명이 증가한 것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보건의료서비스는 2016년 65만 7000명에서 2017년 68만 5000명으로 2만 8000명 증가했으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제조산업 종사자는 6000명 증가했다. 제약이 2400명, 의료기기 2500명, 화장품 1500명 늘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보건산업 일자리 추이를 보면, 보건산업 전체적으로 일자리가 연평균 4.3% 증가했으며, 보건제조산업이 6.3%, 의료서비스가 3.9% 늘어난 것.
분야별로 살펴보면, 보건의료서비스는 2016년 65만 7000명에서 2017년 68만 5000명으로 2만 8000명 증가했으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제조산업 종사자는 6000명 증가했다. 제약이 2400명, 의료기기 2500명, 화장품 1500명 늘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보건산업 일자리 추이를 보면, 보건산업 전체적으로 일자리가 연평균 4.3% 증가했으며, 보건제조산업이 6.3%, 의료서비스가 3.9% 늘어난 것.
남인순 의원은 “최근 고용동향을 보면 보건산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을 고부가가치 미래신성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14만 6000명 수준인 바이오헬스 일자리를 2022년까지 18만 8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한 바 있다.
한편 최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14만 6000명 수준인 바이오헬스 일자리를 2022년까지 18만 8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한 바 있다.
바이오헬스 관련 일자리 4만 2000개를 만들고, 바이오헬스 전문인력을 2022년까지 1만명 육성하겠다고 한 것.
이를 위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기반 구축, 의료기기 글로벌 성공모델 창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기반 구축, 의료기기 글로벌 성공모델 창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보건산업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미래혁신성장 분야인 5대 보건신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33개의 유망직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