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전체 기업 고용 증가율 3.3%보다 약 3배 높은 9.7% 고용 성장
벤처투자 받은 기업 고용 증가율은 40.5%, 유니콘(이력 포함) 기업 14개 사 고용 증가율은 39.4%로 고용 창출의 중심축 역할
지난해 벤처·스타트업 3만 4,362개사의 고용은 76만 1,082명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상반기 벤처스타트업 일자리 동향 보고를 통해 중소기업 일자리 증가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2년 6월 말 고용정보가 유효한 벤처기업(유효기업 3만 4,174개사)과 ’22년 벤처투자 받은 기업(유효기업 1,067개사) 중 중복기업 879개사를 제외한 벤처·스타트업 3만 4,362개사로 이들이 고용한 인력은 76만 1,082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6월 말 69만 3,477명 대비 6만 7,605명 증가한 수치로, 고용정보 제공 미동의 기업 등 고용 현황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기업까지 포함하면 벤처·스타트업이 늘린 고용은 더욱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증가율로 보면 벤처·스타트업 고용 증가율은 약 9.7%로 우리나라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율(+3.3%) 대비 약 3배 높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고용 증가율은 약 40.5%로 전체 보험가입자 증가율보다 무려 12배 이상 높게 나타나 벤처 투자 받은 기업의 고용 증가 효과가 뚜렷했다.
’21년 6월 말 대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10개 사의 총 고용 증가는 4,048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의 약 6.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기업당 고용을 약 404.8명 늘리면서, 전체 벤처·스타트업의 기업당 고용 증가인 약 2.0명보다 평균적으로 200배 넘게 고용을 늘렸다.
상위 10개사 중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유통·서비스 분야 기업이 8개사로, 그중 신선식품 배송 플랫폼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는 1년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렸다.
지역별 벤처투자 상위 2개 지역은 서울(2조 356억원), 경기(7,372억원) 순이었으며,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고용 증가 상위 2개 지역도 서울(+5,905명), 경기(+922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벤처투자 받은 기업의 고용 증가 순위는 벤처투자 규모 순위와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나, 벤처투자된 자금이 고용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중기부 조주현 차관은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위기로 경제환경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도 우리 벤처·스타트업들은 전체 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은 고용 증가율을 보였고, 특히 청년 일자리 창출의 절반을 책임지면서 고용 창출의 새로운 주역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하면서,
“올해 중기부는 비상장 벤처기업의 복수의결권 도입, 민간모펀드 조성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힘있게 추진함으로써 혁신 벤처·스타트업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 우리 경제의 도약과 회복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