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답을 찾기 위해서 마련된 자리에서 의료기기 제조기업은 '국산 의료기기 우선구매'와 '보험수가 현실화'로 의견을 모았다.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도 의견에 힘을 보탰다.
국내 제조사 A업체의 일회용내시경처치구류는 베트남 하노이 메디컬 유니버시티 병원에서 올림푸스 제품에 비해 우수한 가격경쟁력으로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또 제조사 B업체는 해외 글로벌 제품과 비교해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데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의 외면으로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한 C사 진공채혈관(V-TUBE)의 경우는 성능과 가격경쟁력이 검증됐고 국내 조달 우수 제품으로 지정돼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한 실적이 낮은 상황이다.
과감한 보험수가 제도 개편도 요구했다.
현재 보험 급여 정책은 과거 기술 및 행위를 기준으로 설정돼 있다.
이런 이유로 최신 기술은 신의료기술을 통해 보험 급여 적용이 어려워 혁신 의료기기가 개발되기 어려운 구조다.
이 때문에 수가 제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혁신의료기기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된 제품들에 대해 보험수가와 패스트트랙제도 운영을 통해 세계 의료기기 시장 진입에 발판이 될 수 있는 제도 신설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지난 17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의료기기 국산화 확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자리에서 발제한 김소연 대표(피씨엘)는 국산 의료기기 우선 구매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했다.
김 대표는 "공공의료기관에서 국산 의료기기 의무 사용 비율을 꾸준히 늘릴 필요가 있다"며 "공공의료기관의 기자재심의 시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특별 가산점 제도 운영을 통해 의무사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국내 공공의료기관에서 국산 의료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이를 통해서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피드백해 더 양질의 의료기기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게 된다.
또한 국내 사용 내역이 해외에서 국산 제품을 수출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기도 하다.
김 대표는 "공공의료기관에서 국산 의료기기 의무 사용 비율을 꾸준히 늘릴 필요가 있다"며 "공공의료기관의 기자재심의 시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특별 가산점 제도 운영을 통해 의무사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국내 공공의료기관에서 국산 의료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이를 통해서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피드백해 더 양질의 의료기기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게 된다.
또한 국내 사용 내역이 해외에서 국산 제품을 수출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기도 하다.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도 의견에 힘을 보탰다.
국내 제조사 A업체의 일회용내시경처치구류는 베트남 하노이 메디컬 유니버시티 병원에서 올림푸스 제품에 비해 우수한 가격경쟁력으로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또 제조사 B업체는 해외 글로벌 제품과 비교해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데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의 외면으로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한 C사 진공채혈관(V-TUBE)의 경우는 성능과 가격경쟁력이 검증됐고 국내 조달 우수 제품으로 지정돼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한 실적이 낮은 상황이다.
과감한 보험수가 제도 개편도 요구했다.
현재 보험 급여 정책은 과거 기술 및 행위를 기준으로 설정돼 있다.
이런 이유로 최신 기술은 신의료기술을 통해 보험 급여 적용이 어려워 혁신 의료기기가 개발되기 어려운 구조다.
이 때문에 수가 제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혁신의료기기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된 제품들에 대해 보험수가와 패스트트랙제도 운영을 통해 세계 의료기기 시장 진입에 발판이 될 수 있는 제도 신설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