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연구인력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연구인력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6/2023

중기부, 중소기업에 학‧석‧박사급 전문 연구인력 지원


’23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 참여기업 신규 모집





---------------------------------

중소기업 연구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이공계 학‧석‧박사급 연구인력 지원

◦ (채용) 중소기업이 신규 채용한 연구인력 연봉의 50% 최대 3년

◦ (파견) 공공연 연구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하고 연봉의 50% 최대 6년(3+3년)

소‧부‧장, 첨단산업 분야 및 신규 고용 창출 기업 우대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2023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동 사업은 중소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이공계 학‧석‧박사 출신의 전문 연구인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원방식은 ‘채용 지원’과 ‘공공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인력 파견 지원’ 두 가지이다.

채용 지원은 중소기업이 이공계 학·석·박사 연구인력을 채용했을 때 정부가 연구인력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하며, 파견 지원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공공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하여 기술 노하우 전수, 기술 애로 해결 등 업무를 수행하고 정부는 파견인력 연봉의 50%를 최대 6년간(3+3년) 지원한다.


특히, 소‧부‧장 기업은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첨단산업분야 및 공고일 이후 신규 채용 기업은 선정 시 우대하는 등 전략 분야 및 고용 창출 중소기업을 우대할 계획이다.

소부장 강소기업 등은 1개 기업당 2명(신진 1명 + 고경력 1명) 동시 지원 가능하고, 첨단산업분야인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이차전지, AIㆍ빅데이터, 지능형 로봇 등 13개 분야(공고 참고)은 선정시 우대한다. 

지원대상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상의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다.

단, 채용 지원은 공고일 1년 전부터 협약 체결일(’23.5월 예정)까지 연구인력을 신규 채용한 기업만 신청할 수 있다.

올해 신규 지원 규모는 채용 지원 약 350개사, 파견 지원 약 120개사 등 470개사 내외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2월 7일(화)부터 3월 7일(화)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을 통해서 신청하면 된다.

이영 장관은 “디지털 경제 전환 등 기업의 기술‧경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술혁신의 핵심은 전문 연구인력”이라며, “연구인력 지원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7/31/2019

연구인력 채용, 중소기업에 인건비 '50% 지원'

학·석·박사 연구인력 채용시 인건비 50% 지원
AI, 수소경제 등 3대 전략산업 및 8대 선도사업 분야 우대지원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인력 채용에 대한 부담이 한층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연구인력을 채용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 연구인력 지원사업' 2차 지원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중기부에 따르면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우수한 연구인력 확보가 필수적임에도 중소기업은 연구인력을 채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소기업 51.8%는 ‘적정 수준 대비 현재 R&D인력이 부족’하고, 중소기업의 1개사당 평균 연구인력 수는 4.3명으로 대기업의 4.7%에 불과하다.

연구인력 지원사업은 크게 채용, 파견지원 사업으로 구분된다.

먼저 채용지원은 기업부설연구소(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이공계 학·석·박사 연구인력을 채용했을 때 인건비 50%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그리고 연구인력의 경력에 따라 신진·고경력 채용지원으로 나눠진다.

파견지원은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중소기업에 공공연구기관 재직 중인 연구원을 파견하는 사업으로, 파견 연구인력의 인건비 50%를 지원한다.
< 중소기업 연구인력 채용·파견 사업 개요 >
구분
대상인력
지원내용
2차 지원규모()
채용
신진
이공계 학박사 학위 취득 5년 이내자
기업별 최대 2(3년까지)
기준연봉 50% 지원
165명 내외
고경력
이공계 학박사 학위 취득 후 학사 10석사 7박사 3년 이상 경력자
기업별 최대 1(3년까지)
기준연봉 50% 지원
(최대 5천만원/)
44명 내외
파견
공공연구기관 재직 연구원
기업별 최대 1(3+3)
기준연봉 50% 지원
수시 매칭
지난 1차 공고(3월) 시에는 신청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작년까지는 학사 연구인력을 지원하지 않았으나, 올해부터는 학사 연구인력을 신규로 지원(70명)하고, 벤처기업의 경우 가점을 부여(3점)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2차 지원기업 모집 시에는 AI, 수소경제 등 3대 전략산업 및 8대 선도사업*에 해당하는 분야의 연구인력 및 기업일 경우 우대하여 중소기업의 미래 신산업 분야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토록 할 예정이다.

사업의 신청·접수기간은 8월 12일(월)부터 9월 11일(수)까지이며,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