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3/2020

인공지능, 헬스케어 분야 생산성·효율성 증진

KISDI, "의료 서비스 전달 혁신 가속화할 것"



인공지능(AI)가 헬스케어 전 부문의 진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발간한 'AI TREND WATCH 2020-7호'에서 주요 이슈로  'AI가 헬스케어 종사자 및 의료기관에 미치는 영향'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AI는 헬스케어의 각 영역에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진이 환자 케어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의료기관과 공중보건 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4000만 개의 새로운 건강 부문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나 한편으로 의사, 간호사 등 의료 인력은 990만명 정도 부족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보고서는 AI는 의료서비스 전달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며 보다 많은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케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AI기술은 헬스케어 실무자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부차적 업무를 효율화시킴으로써 직접적인 환자 케어에 보다 시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진단 속도를 가속화하고 효율적 자원 할당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케어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AI 도입·적용이 가능한 헬스케어 분야는 크게 ▲자가 케어, 예방·건강유지 ▲선별·초기진단 ▲진단 ▲임상적 결정 지원 ▲의료의 전달 ▲만성질환관리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의료인들이 현재 중요하게 생각하는 AI 어플리케이션은 진단·임상적 의사결정, 데이터 관리 부문이지만 향후 5~10년 뒤에는 자가 관리·예방 영역, 환자 선별, 의료 전달 등 다른 영역에서의 AI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기도 한다.

KISDI는 "헬스케어분야는 타 산업에 비해 AI 도입·자동화로 인한 인력 대체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업무시간의 단축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직무 내 특정 업무의 처리가 효율화되는 경향이 크다"고 말했다.

KISDI는 이어 "의료서비스 전달에 있어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는 다양한 AI 솔루션이 개발되고 실제 의료 현장에서 점차 적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예상되는 많은 우려도 간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