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급여등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급여등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9/16/2020

심평원, 의료기기 산업 육성 위한 급여등재 아카데미 개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오는 10월 의료기기 산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2020년 하반기 급여등재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심평원은 국내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지원하고자 급여등재 아카데미를 개최해 지난 2017년부터 현재까지 연 2회씩 총 1,010명에게 급여등재 전반에 대한 실무교육을 제공해 왔다.

이번 급여등재 아카데미는 지난 상반기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온라인으로 운영된다.

세부 교육과정은 ▲요양급여·비급여 대상여부 확인 ▲의료행위·치료재료 급여등재 절차 ▲감염병 체외진단기기 등재절차 개선 시범사업 등 의료기기 개발 현장에서 문의가 많은 내용으로 구성됐다.

교육 참여 희망자는 오는 18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해 담당자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교육영상은 10월 5일부터 30일까지 심평TV에 접속해 시청할 수 있으며, 교육 자료는 오는 29일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시될 예정이다.

아울러 심평원은 국산 의료기기의 안정적인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의료기기 업체를 대상으로 급여등재 컨설팅을 제공하는 ‘매칭 데이(Matching Day)'를 오는 25일 오전 9시부터 개최한다.

매칭 데이에서는 사전 수요조사에서 접수된 제품의 보험등재 가능성, 기등재 품목과의 유사여부, 급여 인정 범위 안내 등 급여등재 절차와 방법에 대해 1:1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정완순 급여등재실장은 “이번 급여등재 아카데미와 매칭 데이가 국내 의료기기의 산업 경쟁력 강화와 경제 활력 제고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건강보험과 의료기기 산업이 상생·발전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6/18/2020

심평원, 2020 급여등재 아카데미 개최

의료산업계 종사자 대상…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한달간 진행



급여등재절차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줄 온라인 강좌가 개설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오는 6월 22일부터 7월 20일까지 의료산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 2020년 상반기 온라인 급여등재 아카데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아카데미 주요 내용은 의료행위·치료재료 급여등재 제도 및 절차에 대한 안내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온라인 강의 형태로 진행한다.

동영상 강의는  심평교육(http://www.hiratv.or.kr)에서 들을 수 있고, 관련 교육 자료는 국민포털 공지사항(http://www.hira.or.kr)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오는 19일까지 조합 홈페이지를 참고해 교육신청서를 작성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재관리부(정유미 전화 : 033-739-1807 , 전자우편 : yumi04@hira.or.kr)로 송부하면 된다. 

교육 신청자는 향후 '급여등재 아카데미 심화과정' 신청 자격을 우선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조합 홈페이지 게시물(http://www.medinet.or.kr/?page_id=13390&mod=document&uid=946&pageid=1)을 참조하면 된다.

11/01/2018

심평원, 2018 치료재료 아카데미 성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은 지난 10월31일 심평원 서울사무소에서 의료기기 제조 및 수입업체 종사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8년 하반기 치료재료 아카데미를 개최했다.

치료재료 아카데미는 급여등재 실무전반에 대한 의료기기산업계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치료재료와 의료행위 보험급여 등재절차를 비롯한 치료재료 별도 보상 ▲가치평가 ▲사후관리 등 실무사항 전반에 대한 교육이 이뤄졌다.

심평원 치료재료 아카데미는 참여 의료기기업체들의 만족도와 요구도가 높아 매년 상·하반기 연2회 무료로 개최되고 있으며, 2018년 상반기 교육은 지난 3월에 실시된 바 있다.

심평원 변의형 급여등재실장은 “의료기기업계 종사자들이 현업에서 겪는 어려움 해소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기 위해 실무중심 교육과정으로 구성했는데, 앞으로도 치료재료 아카데미가 의료기기 산업계와 소통·공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으로 자리매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