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심사평가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심사평가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8/22/2018

중환자실 의료의 질, 지속적 개선되고 있어





심사평가원 2차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1등급 64기관, 권역별 골고루 분포



중환자실 의료의 질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중환자실 2차적정성 평가‘ 결과를 8월 23일(목) 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및 건강정보 앱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심사평가원은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간 중환자실에 입원한 진료분 중에서 신생아중환자실, 소아중환자실, 화상환자, 중환자실 입실 48시간 이내 환자는 제외한 282기관, 3만 9,576건을 조사했다.

평가결과 종합점수는 평균 69.2점으로 1차 평가(58.2점) 보다 11.0점 상승한 것을 조사됐다.

이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1차 평가보다 개선된 수치다.

상급종합병원은 89.2에서 96.7점으로 7.5점 상승했고, 종합병원은 52.1점에서 64.2점으로 12.1점 상승했다.

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중환자실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이다.

위급한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인력과 장비는 물론 감염에 대비한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심사평가원은 중환자실의 균형적이고 지속적인 질 향상을 위해 중환자실 환경과 진료 현황에 대해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주요 평가지표는 인력·시설 등을 평가하는 구조지표 4개와 진료관련 지표 3개 총 7개 지표로 구성돼 진행했다.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수 ▲간호사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중환자실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 비율 ▲표준화사망률 평가 유무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 등이다.

심사평가원 박인기 평가관리실장은 “2차 평가에서 중환자실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1등급 기관이 크게 증가한 것은 중환자실 수가 개선 등 외부적인 요인도 있지만 전담인력 배치, 프로토콜 구비,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요법실시 등 의료기관의 질 개선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라고 밝혔다.

또한 “평가 결과를 공개 한 뒤 등급이 낮은 기관에 대한 개별 상담을 통해 질 향상 활동을 지원하고, 이후 관련 학회, 소비자 단체 등과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3차 평가계획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8/06/2018

의료장비 바코드 라벨, 이제는 직접 출력한다




8월 1일부터 CT, MRI 등에 붙는 바코드 라벨 온라인 발급 서비스 시작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 업무 불편 해소를 위해 ‘의료장비 바코드 라벨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8월 1일(수)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의료장비 바코드란 의료장비의 생산 및 유통(추적, 폐기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정보 연계를 위해 부여하는 31자리 고유번호를 말한다.

이를 통해 장비의 모델명, 제조시기, 제조(수입)업체 등의 개별 장비 식별이 가능하다.

바코드 부착 대상 장비는 2018년 5월 기준으로 특수의료장비(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자기공명영상진단기(MRI), 유방촬영장치(Mammography)) 및 진단방사선발생장치 등 23종 장비 약 11만8,000대다. 

그간 의료기관의 장비 신규 등록 또는 바코드 라벨 분실·훼손 등으로 재발급을 요청하는 경우, 바코드 라벨을 제작하여 우편으로 발송했기 때문에 의료기관이 바코드 라벨을 수령하기까지 길게는 한 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됐다.

하지만 앞으로는 의료기관이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의 ‘의료장비 바코드 라벨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바코드 발급 대상 장비 신고접수 즉시 바코드 조회 및 바코드 라벨 출력이 가능하다.

바코드 출력은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www.hurb.or.kr)> 공인인증서 로그인> 정보마당> 마이페이지> 증명서 발급> 장비 바코드> 바코드 출력'을 통하면 가능하다.

심사평가원 주종석 의료자원실장은 “의료기관의 편의를 위해 올해 11월까지 바코드 라벨 우편 발송 및 온라인 발급을 병행할 예정이며, 그간 수작업처리에 따른 행정 낭비 및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줄이고 요양기관의 편리성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7/09/2018

'심평원 빅데이터' 활용한 연구 기회 잡아라






심평원, 하반기 ‘HIRA 빅데이터 분석 협업 과제’ 공모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구상해볼 수 있지 않을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평원)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HIRA 빅데이터 분석 협업 과제’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심평원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인 ‘보건의료빅데이터’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심평원의 ‘HIRA 빅데이터’는 심사‧평가 등 고유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축적한 전 국민 의료정보로서, 규모와 질적으로 우수하고 다양한 연구 분야에 활용 가능한 특장점이 있다.

다만 의료정보의 특성상 자료에 대한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분석 난이도가 높아, 실제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심평원은 연구자와 심평원 빅데이터부가 연구 전반에 걸쳐 공동으로 협업하는 ‘HIRA 빅데이터 분석 협업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2018년 상반기 공모 결과 ▲우울증 현황 및 약물요법의 비교효과 연구 ▲소아 장중첩증의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연구 ▲대장암 선별검사의 효용성 비교 ▲종관기후학적 방법을 적용한 건강영향 평가 등 다양한 주제로 10개의 협업과제가 선정된 바 있다.

2018년 하반기 ‘HIRA 빅데이터 분석 협업과제’ 공모기간은 7월 9일(월)부터 7월 29일(일)까지로,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연구자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공모 분야는 ▲정책ㆍ제도 이슈 ▲국민 건강 증진 ▲빅데이터 분석이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http://opendata.hira.or.kr)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류 제출은 7월 29일(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