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조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조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7/28/2020

중기부, 수출 중소기업 위한 '해외조달시장 진출' 전격 지원

수출 중소기업, 해외조달시장 진출 디딤돌 마련
온라인 활용한 맞춤형 교육·컨설팅 및 마케팅 지원까지 전격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코로나19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새롭고 다양한 수출 길을 열어주기 위해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해외조달시장은 12조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 거대시장으로 우리 중소기업의 새로운 수출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으나 정보 부족, 언어 한계, 법률 이슈 등의 높은 진입장벽으로 중소기업이 진출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에 중기부는 조달청과 협업해 국내 중소기업이 해외조달시장 진출에 도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지원할 예정이다.

우선 국내 대표 B2B 플랫폼인 고비즈코리아(www.gobizkorea.com)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전시관‘ 입점을 지원한다. 

해외 조달시장 진출에 특화된 중소기업 20개사를 별도 선정해 온라인 전시관 입점에 필요한 3D, 가상현실 등 IT기술을 활용한 홍보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기업선정은 7월24일부터 7월30일까지로 조달청이 인증한 G-PASS기업 등 조달특화 기업을 우대할 계획이다.

해외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단계별 지원책도 마련한다. 오는 8월 공고를 해서 10월까지 40개사 중소기업을 선정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 선정 시에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유망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달청 혁신 시제품·우수제품기업 및 K-방역 기업 등이 우대된다.

선정기업에게는 1단계로 기업별 맞춤형 교육 및 특화 컨설팅을 제공해 해외조달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해외시장진출전략 수립을 도울 예정이다.

1단계 참여기업 중 성공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집중해 홍보동영상, 전자카탈로그 등 마케팅 키트 제작에 대한 지원 및 목표시장에 함께 진출할 바이어(컨소시엄 파트너) 매칭까지 이어질 예정이다(2단계).

화상상담회 등 중기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비대면・온라인 방식의 해외진출 지원도 연계한다.

중기부는 “K-팝, K-방역 등 대한민국의 우수성이 전 세계에 알려진 것을 계기로 이를 우수한 중기제품의 해외조달시장 진출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며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수출활로를 찾아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21/2019

해외공공시장 진출, 이제 '조합'을 통하자


의료기기 기업의 해외 조달 시장 참여가 한층 쉬워질 전망이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의료기기조합)은 지난 5월 20일 (사)한국지패스기업수출진흥협회(회장 강원식, 이하 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회원사의 해외공공 조달시장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진행됐고, 이를 통해 의료기기조합은 해외정보조달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업무협약에 앞서 조합 이재화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중소 중견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해 힘쓰고 있는 지패스협회와 업무협약을 맺게 되어 기쁘다"며 "의료기기조합은 79년 설립돼 600여 회원사의 수출지원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 좋은 협력관계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협회 강원식 회장은 "국내 의료기기 산업은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고, 유엔(UN) 등 국제입찰에서도 유망품목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의료기기조합과 협력을 통해 국제기구에 프로젝트와 제품을 제안하고, 공동대응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11/16/2018

STS&P 2018, 국제조달컨퍼런스 개최




일산 킨텍스서 개최…세계 100여 개국 유엔·국제금융기구 조달 담당자 '참석'


국제 조달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좋은 기회가 생겼다.

11월 28~30일까지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201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스마트기술 및 조달 전시회·컨퍼런스(STS&P 2018)'가 바로 그것.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유엔(UN)기구와 국제금융기구의 조달 담당자들과 세계 100여국의 공적개발원조 담당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유엔프로젝트조달기구(UNOPS) 사무총장이자 유엔 사무차장을 맡고 있는 ‘그레테 파레모(Grete Faremo)’와 세계보건기구(WHO), 범미보건기구(PAHO), 유엔프로젝트조달기구(UNOPS,)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환경계획(UNEP), 유엔아동기금(UNICEF),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등의 조달 담당자들이 참석한다.

또 세계은행(World Bank)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아시아개발은행(ADB),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비전염성질병관리기구(The Defeat-NCD) 등 국제금융기구 및 국제협력기구 조달 담당자들도 방문한다.

이들은 ‘STS&P 2018’에 참여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제품과 기술 등을 관람하고 투자계약과 조달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제금융기구의 임팩트 투자를 유치하거나 유엔 조달시장과 공적개발원조시장 등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 셈이다.

해당 컨퍼런스는 부대행사로 전시회도 함께 개최될 예정으로 신기술을 보유한 ‘벤처(Venture)기업’이나 ‘스타트 업(Start-Up)’도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업들은 유엔기구와 국제금융기구의 조달 담당자, 세계 100여개 국가의 공적개발원조 담당자들을 상대로 신기술·신제품 설명회를 진행하게 된다.

참고로 지난해 열린 행사에서는 2,024건의 상담이 진행됐으며, 1조2,648억원 규모의 계약이 추진됐다.

STS&P 2018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 참가하는 국내 기업들은 유엔과 국제금융기구, 세계 100여개 국가의 공적개발원조 담당자, 개발도상국 유통 딜러와 1대1 상담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에 해외시장 판로개척과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