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진단시스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진단시스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6/04/2020

감염성 질환 진단 제품이라면? 라이트펀드!

온라인 사업설명회 6월 12일 오후 2시
개발도상국 대상 감염병 진단 중대형 연구개발 대상


감염성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면 라이트펀드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은 어떨까.

(재)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RIGHT Fund, 이하 라이트펀드)는 개발도상국의 신종 감염성 질환 방지 및 진단 치료와 관련된 중대형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연구기관 및 기업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6월 12일 온라인 사업설명회(웹세미나)를 개최하고, 7월 6일까지 보건의료기술분야 연구개발 경험 및 전문성을 보유한 한국의 연구기관 및 법인을 공모한다.

해외 지원자의 경우에도 반드시 1개 이상의 대한민국 기업을 파트너십으로 포함해야 한다.

이번에 투자되는 분야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에 대한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후기단계의 중대형 프로젝트에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제품개발연구비(Product Development Award: PDA) 지원사업이다.

신청기한은 2020년 6월 3일부터 7월 6일 오전 10시까지이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라이트펀드 사무국(02-6337-9400, rightfund@rightfund.org)로 등록하면 된다.

(재)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RIGHT Fund)는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위해 한국정부, 한국생명과학기업,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3자가 공동 출자한 민관협력 연구기금으로 신종 및 풍토성 감염병 대응기술의 연구개발을 발굴 및 지원하고 있다. 

7/25/2019

원주시,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선정



원주시가 '강원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됨에 따라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허브로 주목받고 있다.

총리실 산하규제자유특구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는 23일 ‘강원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를 최종 선정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광역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34개 특구계획에 대한 분과위원회 검토를 통해 최종 8개 특구를 우선 선정했으며, 특례심의위원회(위원장 중기부장관) 등을 거쳐 규제자유특구를 처음으로 지정한 후 이번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강원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를 포함 7개 특구를 최종 선정했다.

‘강원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따라 원주시와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는 원주의 의료기기 분야 기업 및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규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4차 산업혁명 신기술·신제품 등을 실증·상용화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지원·제공할 수 있게 됐다. 오는 2023년까지 약 4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강원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에서는 총 14개사의 특구사업자가 6개의 규제특례를 적용받아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정성을 검증하는 실증특례를 추진하게 된다.

특히, 원주를 중심으로 의료정보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 실증, 건강관리 생체신호 모니터링 실증 서비스, 포터블 엑스선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현장 의료 서비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처럼 전화, 영상통화, 이메일, 앱 등의 통신기술을 활용한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가 가능해져 지금까지 각종 규제로 묶여 있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50여 개사의 기업유치 및 3천여 명의 고용창출 등 경제적 효과와 더불어 3천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원주시 관계자는 “시가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특구로 선정됭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시티를 위한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원주의료기기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