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웹사이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웹사이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9/11/2019

해외 의료기기 시장에 한국 브랜드를 알린다

의료기기조합, 국산 제품 소개 홍보 사업 추진…영문 디렉토리&웹사이트 제작 운영


한국 의료기기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지원사업이 진행된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영문 디렉토리를 제작한다.

영문 디렉토리에는 ▲의료기기 기업들에 대한 정보 ▲해당 기업의 주요 제품 소개 ▲제품별 인증 현황 등을 수록될 예정이다.

영문 디렉토리에 게재된 콘텐츠는 별도의 영문 웹사이트(www.khidi.or.kr/emd) 에도 게시될 예정이다.

해당 영문 디렉토리 및 웹사이트를 활용하면 한국 의료기기에 관심이 많은 해외 바이어들이 손쉽게 관심 제품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합은 현재 세계 유명 의료기기 전시회에 한국관을 구성하고 해외 바이어들에게 한국 의료기기를 홍보하고 있다.

조합 최석호 해외사업팀장은 “조합은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번에 진흥원과 함께 진행하는 영문 디렉토리&웹사이트는 한국산 제품의 홍보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조합(최석호 팀장, 070-8892-3726)에게 문의하면 된다.

7/19/2019

서울시, 글로벌 스마트헬스케어 공모전 개최


서울시가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혁신기술 발굴 사업을 진행한다.

서울시는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JLABS, 한국얀센,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 챌린지'를 공동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 챌린지는 전 세계 바이오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서울시와 존슨앤드존슨이 3년째 함께 개최하고 있는 공모전이다.

최종 선발기업 2곳에는 서울바이오허브에 입주할 수 있는 자격과 기업 성장을 위해 컨설팅 및 해외시장진출 지원 등이 포함된 서울바이오허브의 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과 존슨앤드존슨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멘토링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총 4개의 한국기업이 우승했으며 바이오허브에 입주해서 존슨앤드존슨이 집중 멘토링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대회 주제는 '스마트 헬스케어'로 혁신 기술을 보유한 전 세계 5년 이하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최종 2개 기업을 선발한다.

공모전의 참가 신청은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JLABS 웹사이트에서 9월 15까지 진행한다. 이후 9월~10월 중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서류 및 발표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2개 기업을 선발하며 시상식은 11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의 잠재적 영향력 ▲독창성 및 시장 경쟁력 ▲기술의 품질 및 실현 가능성 ▲지원자의 신뢰성 및 실행역량 ▲향후 12개월 연구계획의 명확성 등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 후 선발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JLABS 및 서울바이오허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28/2019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제품정보 등록 시스템 업체설명회 참여자 모집



국내 최초로 보조기기 데이터 베이스 웹사이트가 오픈한다.

국립재활원(원장 이범석)은 시스템 활용을 안내하기 위한 설명회를 오는 3월 7일 오후 1시 국립재활원에서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중앙보조기기센터 웹사이트(맞춤형 검색 기능) 소개, 보조기기 제품 정보 등록 시스템 사용 방법 등이다. 

해당 시스템은 장애인·노인 등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및 활용촉진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국립재활원에 따르면 기존엔 다양한 보조기기에 대한 정보를 단시간에 확보하기가 어려운 점, 신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보조기기 관련 업체가 직접 중앙보조기기센터 보조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보조기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보조기기 제품정보 등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설명회 참석 대상은 보조기기를 제작 및 판매·유통 업체, 공적급여 보조기기 지원 사업 등록 업체 등 참가신청서를 제출한 업체이며 참가 신청은 3월 6일까지 가능하다.

중앙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 또는 팩스로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 및 보조기기 콜센터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