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은 최근 "제약바이오 기업의 리스크 관리" 보고서를 발간하여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리스크 관리 현황과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글로벌 트렌드:
영업 활동 및 공급 체제 중단 리스크 중요도 높음
사이버 리스크, 규제·법률 리스크 중요성 증가
2. 국내 현황:
재무, 운영, 규정 준수, 법률 등 다양한 리스크 직면
ESG 경영 영향으로 기후·환경, 공급망 관리 등 주요 리스크 영역으로 부각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운영, 전사 차원 리스크 식별 및 관리 프로세스 갖춤
리스크 관리 전담부서 부족, 이사회 중심 리스크 관리 거버넌스 구축
3. 향후 과제: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CEO와 임직원 리스크 관리 중요성 공감대 형성
우수 사례 공유 및 리스크 관리 방안 연구 지속
보고서에서는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과 함께 기업 내 리스크 관리 문화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와 CEO와 임직원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