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비임상시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비임상시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8/03/2018

레이저 의료기기 개발 어렵다고? 단국대병원과 통하면 '일사천리'



레이저를 이용한 의료기기 개발을 고민하고 있다면? 단국대를 방문해 보는 것은 어떨까!

단국대병원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센터장 정필상, 이하 센터)가 올해도 변함없이 관련 의료기기 기업들을 지원하기 때문.

센터는 레이저·광 의료기기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임상, 비임상시험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8월 3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실수요자인 임상의가 참여해 수요를 분석하고 수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 사용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마련됐다.

센터를 통해 제품을 개발하고 기존 제품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선정된 기업은 레이저 의료기기의 임상/비임상시험으로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간단한 서면평가, 구두평가를 통해서 선정하게 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센터(041-550-3028, ltctc@dkuh.co.kr)로 문의하면 된다.

홈페이지 : http://www.ltctc.org/




건양대병원, 안·이비인후·두경부 업체 지원 프로그램 모집







건양대학교가 의료기기 제조기업의 임상, 비임상, 특허를 지원한다.

모집 대상은 안과, 이비인후과, 두경부 관련 의료기기 제조기업이다.

건양대병원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센터장 윤대성, 이하 센터)는 오는 8월 31일까지 '안·이·두경부 의료기기 기업 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센터는 최근 '임상연구인프라조성사업'에 선정됐다.

해당 사업은 병원내 구촉돼 있는 인프라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의료기기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연구개발 생태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에게 '임상/비임상 지원 프로그램', 'IP-R&D 특허전략분석 지원 프로그램 '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

임상지원프로그램은 허가용, 마케팅용 모두 가능하고, 임상시험 4,000만원, 비임상시험 3,000만원까지 지원된다.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심의를 통해 선정하고, 선정된 기업에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허전략분석 프로그램은 의료기기 관련 IP-R&D 특허 분석 비용 지원에 최대 1,500만원이 지원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건양대병원(042-600-0490~4, http://www.kyuh.ac.kr/mdctc)로 문의하면 된다. 


7/03/2018

서울아산병원, 첨단 의료기기 기업 '데스밸리 극복' 지원 나선다



의료로봇, 자동화 의료기기, 인공지능 의료기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를 개발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아산병원이 나선다.

서울아산병원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는 오는 7월 15일까지 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에 대해 비임상, 임상시험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주요 대상은 의료로봇(수술/재활/간호 등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되는 로봇) 및 자동화 의료기기를 비롯, 의료 빅데이터 등 의료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등 기술이 활용되는 의료기기다.

지원 내용은 비임상, 임상시험 관련 비용 지원을 비롯해 효율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임상자문/컨설팅, CRA 업무 등이다.

관심 있는 기업은 홈페이지에 접목해 지원서 및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접수 마감후 선정 추진을 통해 선정 기업은 별도로 통보할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아산병원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02-3010-8669)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는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 지원센터 사업은 병원 내 인프라를 활용해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 지원센터를 구축해 고부가가치 의료기기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연구개발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4/20/2018

식약처, 2018 비임상시험 전문성 강화 교육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비임상시험실시기관 종사자, 신약 연구‧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2018년 비임상시험 전문성 강화 교육’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의약품‧화장품 안전성 평가, 신약 개발 등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비임상시험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했으며,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실시된다.

올해는 3차례에 걸쳐 ▲GLP의 이해와 적용 ▲비임상 독성시험의 이해 ▲의약품 등의 최신 가이드라인 소개 주제다.

'GLP의 이해와 적용'에 대한 교육은 GLP 개요, 비임상시험의 관리 등 GLP 전반에 대한 기본교육이 실시된다.

'비임상 독성시험의 이해'는 그 동안 교육해 오고 있는 일반‧유전‧생식 독성시험을 포함하여 지난해 신설된 의료기기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에 대해서도 안내한다.

아울러 참고로 식약처는 비임상시험 분야 종사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GLP 교육을 총 72차례(3877명 수료) 실시한다

안전평가원은 이번 교육을 통해 국내 비임상시험실시기관 종사자 및 신약 연구‧개발자 등의 비임상 관련 업무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