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기간 중 내방객 1만명 이상 방문
지자체 다양한 지원 … 방사선사·물리치료사 학술대회까지 열려
부산에서 열린 국제의료기기 병원설비전시회(KIMES)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한국이앤엑스와 11월 1일부터 3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 제2전시장에서 개최한 'KIMES Busan 2019'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진행된 첫 지방 KIMES 전시회로 국내외 우수 의료산업을 소개하기 위해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지역 의료인들의 관심도 뜨거웠다.
대한방사선사협회 부산광역시회, 부산광역시 물리치료사회 등이 보수교육을 동시에 진행했다.
또 부산지역 주요병원인 부민병원, 척시원병원, 김해바른병원 등이 참가해 미래 병원 의료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외에도 병‧의원 개원 컨퍼런스와 전국병원구매물류협의회 컨퍼런스 등을 병행 개최해 지역 의료 관계자들에게 최신의 정보를 제공했다.
한편 개막식에는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박희병 전무이사를 비롯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유재중 의원(자유한국당),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박희옥 청장,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박구선 이사장, 김해의생명센터 윤정원 원장, 한국이앤엑스 김충한 회장 등이 참석했다.
11/05/2019
9/02/2019
식약처, 2019 스마트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
스마트 헬스케어 발전방향 모색을 위해 산‧학‧연‧관 한자리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9월 2일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및 한국 스마트 헬스케어의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2019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코엑스 그랜드볼룸(서울시 강남구 소재)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AI), 의료로봇, 3D 프린팅 등 최신 기술을 융합한 국·내외 의료기기 연구·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서 산·학·연 전문가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주요 내용은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 현재와 미래 ▲인공지능과 의료혁신 ▲의료 인공지능 연구개발 ▲의료 3D 프린팅 기술 동향 ▲의료용 로봇의 안전 및 표준동향 ▲국가·국제 표준 동향 등 입니다.
식약처는 이번 행사가 의료기기 관계자들이 스마트 헬스케어의 최신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첨단 기술이 접목된 우수한 의료기기가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 홈페이지(digitalhealth.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9월 2일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및 한국 스마트 헬스케어의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2019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코엑스 그랜드볼룸(서울시 강남구 소재)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AI), 의료로봇, 3D 프린팅 등 최신 기술을 융합한 국·내외 의료기기 연구·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서 산·학·연 전문가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주요 내용은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 현재와 미래 ▲인공지능과 의료혁신 ▲의료 인공지능 연구개발 ▲의료 3D 프린팅 기술 동향 ▲의료용 로봇의 안전 및 표준동향 ▲국가·국제 표준 동향 등 입니다.
식약처는 이번 행사가 의료기기 관계자들이 스마트 헬스케어의 최신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첨단 기술이 접목된 우수한 의료기기가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 홈페이지(digitalhealth.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8/15/2019
새로 바뀌는 국제학술대회 공정경쟁규약 내용은?
공정경쟁규약 가이드라인 개정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메디칼타임즈는 오는 22일 K-HOSPITAL FAIR(국제 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 박람회) 부대행사로 코엑스 3층 301호에서 10시부터 '새로 바뀌는 국제학술대회 공정경쟁규약 내용은?'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발혔다.
이번 토론회는 최근 정부가 제약바이오기업의 국제학술대회 지원을 규제하겠다는 취지의 공정경쟁규약 가이드라인 개정을 언급한 가운데 학계, 정부, 업계의 입장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됐다.
업계에 따르면 공정경쟁규약 지침 개정은 지금까지 형식적으로 유지해온 국제학술대회 지원을 통한 리베이트를 차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깔려있는 만큼 학계는 물론 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는 사안이다.
특히 한동안 잠잠했던 제약바이오기업의 국제학술대회 지원 기준을 크게 흔들 수 있어 가이드라인 제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정책토론회에서는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제약바이오기업의 국제학술대회 지원 가이드라인 신설 등 향후 정부의 계획에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현재 공정위의 국제학술대회 지원 기준은 5개국 이상 외국인 참여와 참가자 300명 이상, 이중 외국인 100명 이상, 2일 이상 회의를 개최하는 경우에 한해 가능하다.
패널토의는 이윤성 전 대한의학회장(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하며 이우용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 은백린 대한의학회 학술이사가 각각 의료 단체 및 의학계 입장을 발표한다.
이어 조민아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윤리경영위원회 위원장, 장우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상무, 나흥복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전무가 참석해 업계 동향을 전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윤병철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장은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국제학술대회 공정경쟁규약 가이드라인 신설 이후 운영방향을 제시한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대한병원협회 주최로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K-HOSPITAL FAIR(국제 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 박람회)에서 컨퍼런스 및 세미나 행사의 일부로 진행한다.
한편, 참가 신청은 100명 선착순 사전접수로 진행하며 등록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www.medicaltimes.com)에서 가능하며 전화문의는 3473-9150(내선 203)으로 하면 된다.
8/01/2019
‘DMDC KOREA 2019 ’ 오는 10월 개최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들은 어떻게 해외 진출을 시도했을까?
이런 궁금증을 해소해 줄 국내 최초의 컨퍼런스가 열린다.
서울대병원은 포항공대(Postech)·대한의용생체공학회와 함께 오는 10월 10일, 11일 양일간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DMDC Korea 2019’를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해당 컨퍼런스는 서울대병원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학(University of Minnesota)의 Design of Medical Device Conference(DMDC)를 벤치마킹해 진행하는 행사다.
주요 목적은 의료기기산업계와 학계·병원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의료기기 상업화·미국 진출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교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계적인 기업들의 해외 진출 노하우를 습득해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는데도 목적이 있다고 서울대병원 측은 밝혔다.
1박 2일 일정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서는 ‘의료기기의 상업화’ ‘국산 의료기기의 세계화’를 주제로 ▲3M ▲메드트로닉 ▲미네소타 주립대학 ▲FDA 등 해외연자들이 참여해 강연을 진행한다.
오승준 서울대병원 의료기기혁신센터장은 “DMDC Korea 2019에는 세계 굴지의 의료기기 대기업에서 기술개발, FDA 인증, 상업화 등 의료기기 개발 전과정 실무에 깊은 전문성을 가진 분들이 강사로 참여한다”며 “미국 진출을 꿈꾸는 국내 기업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네소타 주에는 메드트로닉·보스톤사이언티픽을 비롯해 미국 전역 의료기기업체 중 약 10%에 달하는 600개 업체가 있으며, 세계적인 의료기관 메이요 클리닉도 자리 잡고 있다.
이들 기업은 미네소타 주 중심도시인 미니애폴리스는 실리콘 밸리와는 다른 형태로 산업체와 병원·대학 등 연구기관들이 유기적으로 소통하는 의료기기산업 생태계가 구축하고 있다.
10/12/2018
스마트 헬스케어 새로운 시각을 발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오는 10월 22일 코엑스에서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인공지능/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3D프린팅, 5G 등 다양한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이 접목된 헬스케어 발전과 관련된 가능성과 도전 등에 대해서 논의하기 위해서 마련됐다.
오전에는 ▲데이타 경제 활성화 국가 전략 ▲4차 산업혁명, 시작된 미래라는 기조 연설이 있고, 오후에는 의료인공지능, 스마트헬스케어, 2018의료제품 국가표준 워크숍, 기계기구류 표준 등 4개의 트렉에서 각각의 키워드를 갖고 세션을 진행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조합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