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s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11/30/2020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 이해 A to Z

체외진단 초급-중급 담당자 대상 온-오프라인 교육 과정 개설





최근 K-방역의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체외진단기기 기업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이 개설된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오는 12월 체외진단기기 기업들을 위한 입문, 실무 등 2개 과정을 온오프라인 교육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조합에 따르면 이번 교육은 의료기기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일환으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체외진단 분야에 입문자, 또는 실무자를 위해 마련됐다.

'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 및 전주기 이해' 과정은 12월 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대상은 조합 회원사 중 관련 업계 종사자(초급, 입문자)로 50명으로 한정해 진행될 예정이다.

신청은 링크(https://forms.gle/NHEUECuvz8pXpMQT7)를 통해서 가능하다.

'체외진단 의료기기법(IVDR) 실무과정' 과정은 12월 15일, 16일 양일간 서울역에 위치한 비앤디파트너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조합 회원사 중 관련 업계 종사자(초급-중급)로 30명을 선정해 진행할 예정이다.

신청은 링크(https://forms.gle/fJf9qArZU9wXaCHS9)를 통해서 가능하다.

모집은 12월 1일 오후 3시까지 진행하고 보다 자세한 사항은 조합 산업인력팀(황유익 대리, 070-8892-3833)으로 문의하면 된다.

5/24/2020

의료기기SC, 산업 변화에 따른 신규 일자리 창출 집중

인력수요 조사 고도화 및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확대 집중


의료기기 분야 일자리 수요를 예측하고 기업에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민간 중심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주목된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5월 22일 동대문 JW메리어트호텔에서 '2020년도 제1차 의료기기산업인적자원개발협의체(Sector Council, 이하 의료기기SC) 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

조합은 의료기기SC 사무국을 맡고 있으며 의료기기 관련 단체, 대표기업, 관련학계, 전문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 운영을 통해 일자리 수요를 예측하고 산업 변화에 따른 필요 교육을 파악해 제공하고 있다.

의료기기 산업의 인력수급 및 교육훈련 수요를 조사하고, 조사한 데이터를 근거로 인력수급분석 및 지원방향조사를 진행하고 의료기기 산업의 정책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의료기기SC의 목표다.

이번 운영위원회는 코로나19로 연초 계획했던 사항을 조정하고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추진할 사업들에 대해서 검토를 받는 자리였다.

조합은 하반기 ▲인력 수요조사 고도화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확대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의료기기 산업 채용설명회 개최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SC는 산업계 인력수요에 대한 체계적인 발굴을 통한 맞춤형 인력 공급을 목표로 하는 민간 인적자원개발 협의기구로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으로 산업별 23개 SC 사무국이 운영중이다. 의료기기 산업은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 사무국을 맡고 있다.

7/08/2019

의료기기 분야 워라밸 강소기업은 어디?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2019 일하기 좋은 기업 추천



2019년도 의료기기 분야 일하기 좋은 기업을 선정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오는 7월 19일까지 의료기기 분야 ‘일하기 좋은 기업’ 추천을 받는다.

해당 사업은 의료기기 중 일하기 좋은 기업을 발굴해 홍보하는 사업으로, 기업들은 우수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어 좋은 호응을 받고 있다.

지난 2018년도에는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엠큐브테크놀로지, ㈜인바디 등이 선정된 바 있다.

조합은 올해도 변함없이 2019년 3개 기업을 선정해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은 임금, 복지, 고용안정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의료기기 기업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선정된 기업에게는 보기업들을 홍보하고, 의료기기조합 발행 웹진, 뉴스레터, 해외 영문특별판 신문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2019년 7월 19일(금)까지 신청을 받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조합 홈페이지(http://www.medinet.or.kr/?page_id=13390&mod=document&uid=507)에서 확인할 수 있다.

12/10/2018

의료기기SC, 양질 일자리 창출 위해 달렸다

12월 4일, 2차 운영위원회 개최… 평가 “다양한 활동 긍정적” “내년 기대돼”


올 한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민간 분야 노력에 대한 평가가 진행됐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12월 4일 IBC호텔 2층 컨퍼런스룸에서 ‘2018년도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ector Council, 이하 SC) 2차 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

SC는 산업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민간 주도의 협의기구로 현재 산업을 대표하는 19개 단체가 SC사무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조합이 SC 사무국으로 지정돼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의 민간 주도 인 협의기구를 구성하고 인력 양성 및 교육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정책 제안을 하고 있다.

조합은 올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집중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의료기기 분야 중 강점을 갖고 있는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진행했다.

디지털엑스레이, 초음파 등 영상진단기기 제조기업, 4차산업혁명과 관련해 3D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의료기기 제조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과 교육에 대한 수요를 조사했다.

주요 내용은 인력분포, 직무별 수급실태, 직급별 연봉수준, 고용형태 등으로 해당 자료는 정부정책개발, 대학교 과정개발, 산업 내 채용자료 등에 활용되고 있다.

올해 조합은 SC사업으로 의료기기 분야 채용사이트를 개발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교육 연계 채용 사업을 추진한다.

채용사이트는 의료기기 분야의 주요 인력 수요인 ▲인허가 ▲품질관리 ▲연구개발 ▲생산 ▲해외마케팅 등에 대한 채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 인력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의료기기 이러닝 교육 사이트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 올해 조합은 총 7회 협의체 운영을 통해 운영위원회를 비롯 의료기기 분야 인력애로 사항을 파악하고, 일하기 좋은 의료기기 기업을 선정해 양질의 일자리들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원했다.

교육프로그램은 의료기기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해외 인허가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유관기관과 함께 개발해 4차례 실시했고, 대학생을 위한 의료기기 기초 교육 4개 과정을 개발해 시범운영을 완료했다.

이외에도 올해 조합은 의료기기 멘토링 사업, 공동직무설명회 등을 추진한 결과를 발표하고 성과를 소개했다.

조합 안병철 상무는 “의료기기SC는 의료기기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력 수요를 파악하고 필요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며 “올해 수집한 다양한 해외사례들을 내년 사업에 적용해 기업과 학교가 더욱 간격을 좁혀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채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9/03/2018

4차산업혁명, 의료기기 인력 수급엔 어떤 변화 있나?



의료기기SC, 의료기기산업 인력수급실태 수요조사 진행


최근 급변하는 의료기기 산업 환경에 따른 인력수급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주목된다.

해당 자료는 의료기기 인력 정책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9월 30일까지 ‘의료기기산업 인력수급실태 수오죠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 대상은 ▲의료기기 중에서 X-ray, 초음파, CT, MRI 등 진단기기 제조기업 ▲3D프린팅을 활용한 의료기기 제조기업 등이다.

해당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총인원 ▲분야별 종업원수(사무/연구/생산) ▲채용계획(모집분야/예정인원/숙련도) ▲필요교육과정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조사한다.

총 4장으로 구성돼 있고, 10분 정도면 작성이 가능하다.

해당 자료를 작성해서 제출하면 기념품도 지급한다.
(http://www.medinet.or.kr/?page_id=13390&uid=125&mod=document&pageid=1)

방법은 위의 수요조사서를 다운로드 한 후 프린트, 자필 작성해 제출(이메일, 팩스)하면 된다.

조합 안병철 상무는 "응답 내용은 향후 의료기기산업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며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근거가 돼 기업들의 인력난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8/08/2018

의료기기SC, 유럽 인증 변화 대응 세미나 개최





의료기기조합-TUV SUD 공동 개최 … 150여명 참석 성황








의료기기 수출 기업을 위한 유럽 인증 변화 대응 세미나가 열렸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 이하 조합)은 지난 8월 3일 충무아트센터 대회의실에서‘변경된 유럽 의료기기 MDR 개정에 따른 주요 변경사항 및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가 준비해야 할 사항’이란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150여명의 의료기기 관련 종사자들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조합에 따르면 최근 유럽 인증제도가 MDD(Medical Device Directive)에서MDR(Medical Device Regulator)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품목의 등급 분류가 크게 변화하는 것은 물론 기존 의료기기가 아니던 제품들도 의료기기로 관리를 받게 됐다.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이 이를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다양한 정보가 정제되지 않고 돌아다녀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의료기기SC 사무국은 유럽 최대 인증기관인 TUV-SUD와 협력을 통해 아크라 부사장(Dr. Bassil Akra)을 초청했다.

아크라 부사장은 유럽 지침 문서와 표준 개발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현재 유럽 임상 시험 및 평가 실무 그룹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아크라 부사장는 “새로운 유럽 인증은 호러영화와 유사한 점이 있다”며 “처음 변경된 문서를 읽어봤을 때는 별로 바뀐 것이 없다는 반응을 보일 수도 있지만 실무에 적용하면서 공포를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인증 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 관련 규정들을 수회 반복해서 읽어보기를 바란다”며 “유럽 위원회 사이트에도 자주 방문해 인력, 문서, 절차 등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합 안병철 상무는 “이번 세미나는 의료기기조합이 의료기기 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마련했다”며 “향후에도 의료기기 수출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마련해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료기기SC는 산업부의 지원을 받아서 운영되는 의료기기 관련 단체, 대표기업,관련학계, 전문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민간 주도의 인적자원개발 협의기구다.

조합은 2012년부터 지식경제부로부터 인적자원개발협의체 사무국 지정을 받아 의료기기산업 인력수급실태 및 교육현황 등을 조사하고 의료기기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 운영을 통해 인력수급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정책제안을 하고 있다.